초록 열기/닫기 버튼

1970년대 여대생은 일종의 상징이었다. 여공, 식모, 호스테스처럼 1970년대 산업화 이후 등장했던 여성 인물형과 달리 여대생은 중산층 이상의 부유한 가정을 연상케 했다. 이는 1970년대 이후 한국영화에서 부쩍 여대생을 주인공으로 한 작품이 많아진 것과 연관된다. 여대생은 영화, 소설, T.V 드라마를 통해 일정한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 김호선 감독의 1975년작 <겨울여자>가 대단한 흥행을 기록한 근간에는 바로 이러한 여대생에 대한 선입견이 자리하고 있다. <겨울여자>의 이화는 대중이 생각하는 관습적 여대생의 이미지와 그와 반대되는 성적 일탈을 보여준다. 부유한 중산층 가정, 매우 드문 고학력의 여성이라는 배타적 이미지에 자신의 육체를 스스럼없이 제공하는 이화의 행동은 1970년대 대중의 은밀한 욕망과 감정구조를 보여준다. 중요한 것은 이화의 성적 기행이 ‘성처녀’로 불릴 만큼 자신의 욕망이 아닌 남성-타자의 욕망에 충실하다는 점이다. 이는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서는 성처녀로 볼 수 있지만 한편 이화의 욕망으로 보자면 히스테리적 욕망에 가깝다. 그녀는 타자에게 영원한 결여를 안겨줌으로써 대상이 되고, 대상이 되는 데서 스스로 존재의 가치를 찾는다. 욕망의 대상이 됨으로써 존재를 확인하는 이화의 아이러니한 욕망은 1970년대를 살았던 대중들의 감정구조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급속한 경제 발전과 탈근대화, 억압적 가부장제의 분위기 안에서 당시 대중들은 곧 대상이 됨으로써 오히려 만족을 얻는 히스테리를 요구받았다고 할 수 있다. <겨울여자>가 기록한 60만 명에 가까운 흥행 기록은 대중의 감정 구조와 소통하고 당대 대중들의 욕망을 반영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이화는 1970년대 대중들의 이상이자 왜곡된 심리의 재현이었다.


A college girl in 1970s was a sort of symbol. Unlike factory girls, housemaids and hostess-escorts, which appeared after industrialization of 1970s, college girls reminded people of those from rich households above middle class. This is involved in many movies of 1970s with college girls heroins. College girls formed a certain image in movies, novels and TV shows. The basis of popularity of the movie <Winter Woman>, directed by Hosun Kim in 1975, was the prejudice of college girls. Eehwa, the main character of the movie, expresses a sexual aberration, which is the opposite image that the public had for college girls. She has rich middle class family and high education, which reflect her exclusive image, but she is willing to offer her body. Her behavior shows people's secret desires and emotion structure of 1970s. What is important is Eehwa's sexual eccentricity is mostly for men(others)'s desire rather than her own desire, so she is called “sex girl”. In a patriarchal society, she can be viewed as a sex girl, but in her desire's prospective, it is more like hysterical desire. By giving permanent loss to others, she finds value of existence. Her ironic desire of finding her existence by becoming the object of desire is closely related to the public's emotion structure in 1970s. In the environment of post-modernization and harsh dictatorship, what the public of those days were required was to become hysterical main agents who could be satisfied by becoming the object. The box office record of 600 thousands is the evidence that shows the movie communicates with the emotion structure and reflects the desire of the public of the days. Eventually, Eehwa is ideal and reproduction of the public of 1970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