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캐나다 작가 몽고메리의 작품 Anne of Green Gables의 한국어 번역본 『빨강머리 앤』은 1960년대부터 오늘날까지 한국의 여성 독자에게 향유되어온 베스트셀러이자 스테디셀러이다. 이 출판물은 여고생뿐 아니라 어린이와 성인 독자까지 포섭하고 영상물로도 제작되어 세대를 거쳐 전수됨으로써 한국 대중문화를 이해하는 데 빼 놓을 수 없는 문화사적 존재감을 보여 왔다. 본 논문은 이 텍스트의 출판과 소비의 시대별 특징을 정리하여 수용사를 밝히고, 한 편의 텍스트가 국경을 건너면서 굴절되는 양상과 수용 문화권에서 향유되고 세계관을 재생산하는 문화적 동력학을 규명하고자 했다. 나아가 『빨강머리 앤』 서사로부터 젠더적, 내셔널리즘적 차원에서 논쟁적 지점들이 있음을 독해했다. 그리고 번역 판본 비교라는 실증 연구를 통해 이와 같은 담론 연구를 더욱 정교화할 수 있었다. 최초 번역본이자 가장 널리 읽힌 한국어본인 신지식 번역본은 일본어본의 중역이었으며 따라서 1950년대 소녀소설을 의식하며 작업했던 무라오카 하나코의 세계관과 작품관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원문에서는 두드러지던 ‘민족 단위의 배타적 공동체들 간의 긴장감’은 일본을 거쳐 한국으로 유입되면서 ‘열악한 현실적 조건을 극복하는 개인의 정신력’의 문제로 초점이 완전히 옮겨가게 되고 ‘보수적 여성관’은 강화되었다. 동양의 독자들에게 이 텍스트의 배경은 캐나다라는 국가적 상징으로 인식되지 않고 서정적 자연을 풍경으로 하는 이상적 마을 공동체로 인식되었다. 또한 1960년대 한국 문학과 출판 시장 속에서 ‘긍정적 낙관적 세계관을 담지하고 보수적 여성관에 의거하여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성장하는 서사’였던 『빨강머리 앤』은 다소 이질적인 존재였다. 문학 연구로서 강조하고 싶은 지점은 『빨강머리 앤』의 전체적인 서사를 관통하는 갈등이 ‘문학’과 ‘생산성’ 사이의 긴장 관계였다는 점이다. ‘문학적 언어와 수행적·지시적 회화’, ‘공동체의 관습적 규율과 개인의 자유’, 그리고 ‘노동력으로서 소녀와 사내아이의 쓸모’가 충돌하는 일련의 에피소드들은 ‘문학’과 ‘여성’의 사회적 가치와 효용이 젠더화되며 발현되는 방식을 입체적으로 재현한다. 『빨강머리 앤』에서 상상력은 사회의 합리성과 생산성을 위협하지 않는 선에서 용납되었으며 상상력의 유통기한은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한 순간 시효를 다한다. 그렇게 공상 소녀는 공동체로 귀환했다. 1908년 캐나다 여성의 현실과 소망이 담긴 『빨강머리 앤』은 20세기 후반 한국 여성의 현실에 공명하고 문학적 상상력의 가능성을 타진하며 21세기 초두에 남아 있다.


The Korean translation of Anne of Green Gables, written by Canadian author Montgomery, has been a steady bestseller enjoyed by Korean female readers since the 1960s. This publication has won over children and adult readers as well as teenagers and has been turned into visual media, showing a significant presence in the literary history which allows us to understand Korean mass culture through the generations. By organizing the periodical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ation and consumption of this text, the present paper examines the history of its acceptance and aims to investigate the literary dynamics whereby a single text is deflected as it crosses over national boundaries, is enjoyed in the receptive culture, and reflects a certain outlook on the world. Furthermore, the paper encompasses the points of contention related to the aspects of gender and nationalism in the narrative of Anne of Green Gables. Through an empirical comparative study of the translated versions, the above-mentioned discourse can be further elaborated. Shin Ji-Sik’s translation was the first Korean translated version and the most widely read, although it was a retranslation (or secondary translation) of the Japanese version. It was therefore influenced by the translator Muraoka Hanako’s worldview and the literary context, as he had worked with an awareness of girls’ fiction in the 1950s. The “tension between the exclusive ethnic communities” had been prominent in the original text, but as the text was introduced to Korea through Japan, the focus was shifted to problems of “individual willpower to overcome a difficult environment”, and the “conservative view of women” was strengthened. For readers in Asia, the background of the text was not the nationalistic symbolism of Canada, but an ideal village community with a lyrical natural landscape. In the literary and publishing market of 1960s Korea, Anne of Green Gables took on a somewhat disparate existence as a “narrative of growth into a member of the community based on a positive view of the world and a conservative view of women”. As a literary study, this paper emphasizes the idea that the conflict driving the overall narrative of Anne of Green Gables was the tension between “literature” and “productivity”’. The conflicts between the “literary language and performative/deictic conversation”, the “traditional rules of the community and individual freedom”, and the “usefulness of girls and boys in the labor force” are illustrated through series of episodes in order to reproduce three-dimensionally the method by which the social value and usefulness of “literature” and “woman” have been gendered. Imagination in Anne of Green Gables is permitted only to the point where rationality and the productivity of society are not threatened, and imagination expires the moment the character grows into a member of the community. In this way, the imaginative girl is returned to the community. Anne of Green Gables embodies the reality and hopes of a Canadian woman in 1908, and the book still stands at the start of the 21stcentury as a resonance of the reality of late20th-century Korean women, and of the possibility for literary imag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