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이광수의 『무정』에 나타난 초기영화의 영향을 분석했다. 그간의 『무정』 연구에서 활동사진과 같은 당시 시각 미디어의 영향은 주변적인 것으로만 취급되어 온 경향이 있다. 하지만 『무정』에는 단순히 문학이나 인쇄매체에만 한정해서는 결코 설명할 수 없는 요소들, 가령 서술방법부터 그 모티프에 이르기까지 당시 영화매체의 영향력이 강하게 투영된 지점들이 존재한다. 이 지점들을 탐구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무정』에 등장하는 ‘활동사진’, ‘우미관’, ‘대활극’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당시 영화문화가 이 소설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다. 먼저, 「문학이란 何오」와 『무정』을 겹쳐 놓고 읽을 때, 「문학이란 何오」에서 강조되었던 “作者의 想像內의 世界를 充實하게 寫眞하여 讀者로 하여금 直接으로 其世界를 대하게 하는 것”으로서의 ‘묘사론’은 『무정』에서 활동사진을 매개로 실현된다. 이는 『무정』의 활동사진 관련 서술이 근대소설을 구축하는 방법으로서 문학론의 단계에서부터 중요하게 구상되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무정』은 그 서술의 층위에서도 당시 활동사진 변사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데, 몇몇 구절은 당시 활동사진 변사의 설명 모델 없이는 처음부터 『무정』에 등장할 수 없었던 것이었다. 이밖에도 근대적 선정주의가 점령했던 당시 극장의 활극과 재난 영화와 관련한 장면 역시 『무정』에서 관찰된다. 청량사의 추적, 활극 장면과 결말부의 홍수장면, 노파의 꿈에 등장하는 기차의 전복과 같은 장면들은 당시 상영되었던 활동사진의 주요 모티프이기도 했다. 물론 『무정』에 나타난 활동사진의 영향은 특정영화를 통해 증명할 수 없는 것이지만, 광범위한 당대 영화문화에 대한 맥락을 검토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정』에 등장한 ‘활동사진’, ‘우미관’, ‘대활극’과 같은 키워드들은 단순히 우연적으로 차용된 것이 아니라 그의 소설론과 소설을 관통하는 중요한 요소였음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analyses the influences of early cinema which is prominent in Lee Gwang-Su’s Mu-jeong (1917). In the previous literary criticisms of Mu-jeong,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treat the influence of visual media such as moving pictures of that time to be secondary. However, I argue that Mu-jeong discloses crucial factors that cannot be explained by simply limiting them in terms of literature and print media- from depiction to its motives, there exists the pivotal points at which the influence of the movies of that time projected strongly. To articulate these aspects, this essay focuses on ‘moving pictures’, ‘Umigwan’, and ‘action film’ as key word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movie culture at that time on this novel. First of all, when reading “What is Literature?” (1916) and Mu-jeong together, the depiction theory stressed in “What is Literature?”, which emphasizes visual effects, is materialized through moving pictures in Mu-jeong. As we can see, the depictions related to moving pictures of Mu-jeong have been used as methods to develop modern novels, with important conceptualization starting from the theory of literature. Also, it appears that these depictions in Mu-jeong were influenced by Byun-sa (Korean film commentator) of motion picture regarding its narration at that time, and some of the lines could not have appeared on Mu-jeong without a descriptive model of Byun-sa. Besides this, at the time when modern sensationalism had taken over, action and disaster scenes could also be observed in Mu-jeong. It is not possible to show the influence of the moving pictures in Mu-jeong in any other specific movie, but we can see it by checking the context of the broad film cultures of the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