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발간물

목록으로

중동 산유국 대외원조의 추이 및 특징과 시사점

  • 저자 윤서영
  • 발간번호2010-18
  • 발간일2010-04-21
▣ 중동 산유국은 1970년대 대외원조를 시작한 이래로 GNI 대비 높은 수준의 관대한 원조를 공여하였으며 최근 유가상승과 함께 그 규모가 다시 증가하고 있음.

▣ 중동 산유국은 고유한 원조 결정기준을 갖고 있는바, 선진 원조공여국들의 원조와 형태 및 방법, 수혜국 선정기준 등에서 매우 다른 양상을 보임.

- 중동의 원조규모는 유가, 원유생산량, 역내 정치 환경 변화에 따라 연도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음.

- 중동 대외원조는 DAC 원조에 비해 높은 양자간 협력비율을 보이며, 공여 초기 원조의 대부분은 양자간 무상원조였음.

- 역내 안보 유지와 이슬람교리 강화가 수혜국 선정의 주요 결정요소로 아랍·이슬람 국가들에 대한 원조가 집중되어 있음.

- 한편 DAC의 주요 원조수원국과 비교해볼 때 원조대상국의 소득수준, 정치경제정책 등은 수혜국 선별기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

▣ DAC 회원국인 한국이 중동 원조 수혜국에 대한 원조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미 수행 중인 중동 원조공여국의 원조 특징 및 전략을 고려한, 차별화된 원조정책 마련이 필요함.

- 중동에 대한 ODA 정책 방향, 주요 수원국 선정, ODA의 형태와 전달방식 등의 기본 정책을 수립할 때 중동 산유국의 원조 특성을 고려해야 할 것임.
첨부파일

이전글 다음글 목록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