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전체보고서

발간물

목록으로
연구자료 동남아 전략산업 분석: 자동차산업 ― 발전 잠재력과 전략적 시사점 경제개발, 산업정책

저자 이성신, 박원장 발간번호 10-32 자료언어 Korean 발간일 2010.12.30

원문보기(다운로드:1,380) 저자별 보고서 주제별 보고서

1950년대에 일본 업체들의 수입 부품(CKD) 조립으로 시작된 동남아시아 자동차산업은 1967년 결성된 ASEAN을 중심으로 하여 부품 생산에서 분업 협력을 추진해 왔으며, 외환위기 이후에는 완성차의 생산 및 수출 산업화를 지향하고 있다.
동남아시아는 2009년 주요국의 자동차 수요가 200만 대에 미치지 못할 정도로 아직은 규모가 작다. 그러나 동남아시아는 경제 발전이 지속되고 있고, 인구 수도 세계 4위인 인도네시아를 비롯하여 상당히 많다. 더구나 동남아 주요 3개 시장 가운데 말레이시아를 제외한 태국과 인도네시아가 ‘자동차 대중화(motorization)’ 시기를 앞두고 있어 미래의 시장 잠재력은 매우 크다. 요컨대, 동남아시아는 BRICs에 이어 차기 주력 시장으로서 부상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산업 정책 측면에서는 커다란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외환위기 이전까지 동남아시아 주요국은 부품 국산화를 중심으로 한 역내 분업 협력 강화에 집중해 왔다. 그러나 2000년대에 들어선 이후 정책의 중심이 완성차로 옮겨가면서 자동차 개발 능력 확보와 이를 통한 수출산업화를 지향하게 된 것이다. 그 선두에 1톤 픽업에서 생산 및 수출 거점화에 성공한 태국이 있으며, 인도네시아가 그 뒤를 따르고 있고 일찍부터 수출산업화를 모색해 온 말레이시아도 기술 협력선 발굴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다만, 산업 발전이 지연된 필리핀과 베트남은 저렴한 노동력 등을 바탕으로 자동차의 국산화 및 역내 부품 협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공급 구조 측면에서는 일본 업체들이 동남아시아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동남아시아는 일본 업체들이 조립 산업에 참여한 이후 부품 분업 협력을 주도하면서 이 시장을 과점해 오고 있고 산업에 대한 영향력도 매우 크다. 최근 태국이 1톤 픽업에서 세계 생산 및 수출 거점화에 성공한 것도 일본 업체들의 전략에 힘입은 것이다. 나아가 도요타, 닛산 등 일본의 주요 업체들은 태국과 인도네시아를 소형차에 대한 생산 및 수출 거점으로 육성하면서, 모델별 역내 보완 전략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동남아시아 자동차산업에 대한 일본 업체들의 지배력은 향후에도 장기간 지속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남아시아 자동차시장은 향후 BRICs에 이은 차세대 주력 시장으로 부상할 가능성이 큰 만큼 적극적인 진출 전략의 검토가 필요하다. 다만, 동남아 자동차시장은 AFTA로 인해 역내에서 생산된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월등히 높기 때문에 수출보다는 현지 생산이 경쟁에서 훨씬 유리한 상황이다.
그러나 국가별로는 시장 잠재력과 산업 발전 여건상의 강점과 약점, 기회 요인과 위협 요인이 매우 다르다. 따라서 동남아시아 현지 생산을 본격화하고자 할 경우, 그 거점은 이를 종합적으로 비교 검토하여 선정할 필요가 있다. 국가별 장단점을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중단기적으로는 태국, 장기적으로는 인도네시아가 완성차 진출거점으로서 가장 유망한 것으로 판단된다. 자동차산업 발전이 뒤처져 있고 시장도 미성숙한 필리핀과 베트남은 부품 진출거점으로 고려해 볼 만하다
한편 우리나라 자동차 업체들은 현재 미국과 중국, 인도, 브라질 등 BRICs에 대한 투자를 집중하고 있어 동남아 지역에 대한 대규모 투자는 2010년대 후반에 이르러야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중단기적으로는 현재 국내 업체들이 보유한 현지 소규모 거점들의 점진적인 설비 확충과 함께 유망 부품업체 발굴, 국가 간 보완을 고려한 모델 배치 등 기존 공장의 생산체제 정비에 주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장기적으로는 인도네시아를 핵심 거점으로 설정하고 저가 전용 모델의 개발, 부품 조달체제의 구축 등을 준비해 나가는 전략적 선택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The auto industry in Southeast Asia began with CKD assembly for Japanese automakers in the 1950’s. With the formation of ASEAN in 1967, division of labor in parts manufacture was promoted, then proceeding to production of finished cars and development of automobile manufacture as an export industry after the Asian Foreign Exchange Crisis.
Though the market for automobiles in Southeast Asia remains relatively small, with a volume of just under two million in 2009; it should be noted that Southeast Asian economies continue to grow and the presence of countries like Indonesia, the fourth most populous country in the world, gives the region a huge population base. In addition, two (Thailand, Indonesia) out of three (Thailand, Indonesia, Malaysia) largest markets in the region are looking forward to motorization in the near future, thus pointing to enormous future potential for Southeast Asia’s automobile market. Southeast Asia is widely expected to rise as the next major market for automobiles, after the BRICs countries.
In addition, a major transformation in pending in terms of the region’s industrial policy, as major countries in Southeast Asia are moving away from the pre-Crisis focus on intra-regional division of labor. The auto industry was oriented towards exports in accordance with a policy shift from focus on parts to finished cars. This comes in the wake of efforts to nurture and secure the capacity to develop their own automobiles in the 2000s. These efforts are being spearheaded by Thailand, which recently succeeded in turning itself into a production and export base for 1-ton trucks, with Indonesia following on its heels and Malaysia actively seeking partners for technical cooperation. As for the Philippines and Vietnam, where the pace of industrial development has been slow, they are attempting to secure capacity for domestic production and seeking intra-regional cooperation in auto parts manufacture.
The supply structure for the automobile market in Southeast Asia has been presently dominated by Japanese producers. Japanese companies have attained a monopoly over the said market ever since Japanese companies took part in assembly production and consequently became the main driving force in division of labor in parts manufacture, thereby exerting enormous influence over the industry in Southeast Asia. Thailand owes its recent success in becoming a production and export base in one-ton trucks, in large part, to strategies of Japanese automakers. Major auto companies like Toyota and Nissan are nurturing Thailand and Indonesia as bases for production and export of small cars, while simultaneously pursuing a complementary strategy within the region between different production models. As a result, Japanese firms will retain their paramount position in Southeast Asia’s auto industry for the foreseeable future.
As Southeast Asia will likely emerge as the next major automobile market after the BRICs countries, active consideration needs to given for Korea’s entry into that market. But given the significant price competitiveness of products produced within the region, local production has the advantage over exports in competition.
But since much variation exists among the countries in terms of market potential, strengths/weaknesses in industrial development, opportunities, and risks;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the above factors must precede any serious attempt at selecting a base for local production. Initial comparison and analysis of strengths and weaknesses by country reveals Thailand to be the best choice as a production base for finished cars in the short to middle term, while Indonesia is the best option for the long term. Though underdeveloped in terms of the auto industry and markets, Philippines and Vietnam could receive consideration as bases for auto parts manufacture.
As Korean automakers are currently concentrating investment in the US and BRICs countries (China, India, Brazil, etc), substantial investment into Southeast Asia will have to wait until the latter part of 2010’s. This means that for the short and middle term, it would be best to focus on bolstering production systems in existing facilities through gradual expansion of currently small production bases maintained by Koraen automakers in Southeast Asia, as well as assignment of models based on complementarity between countries. It is advised that a strategic choice be made by assigning Indonesia as a key production base for the long term, and begin preparatory measures such as development of low-cost models and establishment of parts supply network.

국문요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방법, 범위 및 구성 
3. 연구의 한계 


제2장 동남아 자동차산업 및 시장 개관 
1. 자동차산업 개관 
가. 자동차산업 발전과정
나. 자동차산업 정책 동향
다. 일본 자동차 업체들의 역내 분업 전략 
라. 자동차산업 발전 여건 
2. 자동차시장 개관 
가. 자동차 판매 추이와 현황 
나. 자동차 생산 추이와 현황 
다. 자동차 수출 추이와 현황 


제3장 주요 국가별 자동차시장 현황과 수급 동향 
1. 태국 자동차시장 현황과 수급 동향 
가. 자동차시장 현황 
나. 자동차 판매 동향 
다. 자동차 생산 동향 
라. 자동차 및 부품 수출입 동향 
2. 인도네시아 자동차시장 현황과 수급 동향 
가. 자동차시장 현황 
나. 자동차 판매 동향 
다. 자동차 생산 동향 
라. 자동차 및 부품 수출입 동향 
3. 말레이시아 자동차시장 현황과 수급 동향 
가. 자동차시장 현황 
나. 자동차 판매 동향 
다. 자동차 생산 동향 
라. 자동차 및 부품 수출입 동향 
4. 필리핀 자동차시장 현황과 수급 동향 
가. 자동차시장 현황 
나. 자동차 판매 동향 
다. 자동차 생산 동향 
라. 자동차 및 부품 수출입 동향 
5. 베트남 자동차시장 현황과 수급 동향 
가. 자동차시장 현황 
나. 자동차 판매 동향 
다. 자동차 및 부품 수입 동향 


제4장 주요 국가별 자동차산업 정책 추이와 현황 
1. 태국의 자동차산업 정책 및 제도 
가. 자동차산업 정책 개요 
나. 자동차산업 마스터플랜과 Eco-Car 프로젝트 
다. 자동차 관련 FTA 동향 
라. 자동차 세제 및 배기 규제 
2. 인도네시아의 자동차산업 정책 및 제도 
가. 자동차산업 정책 개요 
나. 신자동차산업 정책 
다. 자동차 세제 및 배기 규제 
3. 말레이시아의 자동차산업 정책 및 제도 
가. 자동차산업 정책 개요 
나. 제3차 공업화 마스터플랜과 국가 자동차정책 
다. 자동차 세제 
4. 필리핀의 자동차산업 정책 및 제도 
가. 자동차산업 정책 개요 
나. 자동차 세제 
5. 베트남의 자동차산업 정책 및 제도 
가. 자동차산업 정책 개요 
나. 자동차 세제 


제5장 주요 국가별 자동차업계 현황과 발전 잠재력 
1. 태국 자동차업계 현황과 발전 잠재력 
가. 자동차 생산업체 현황 
나. 주요 업체의 Eco-Car 생산 계획 
다. 산업발전 여건과 잠재력 
2. 인도네시아 자동차업계 현황과 발전 잠재력 
가. 자동차 생산업체 현황 
나. 산업 발전 여건과 잠재력 
3. 말레이시아 자동차업계 현황과 발전 잠재력 
가. 자동차 생산업체 현황 
나. 산업발전 여건과 잠재력 
4. 필리핀 자동차업계 현황과 발전 잠재력 
가. 자동차 생산업체 현황 
나. 산업발전 여건과 잠재력 
5. 베트남 자동차업계 현황과 발전 잠재력 
가. 자동차 생산업체 현황 
나. 산업발전 여건과 잠재력 


제6장 동남아 자동차시장 진출 및 협력 방향 
1. 동남아시장 진출 여건과 전략적 시사점 
가. 동남아시장 진출 여건 
나. 진출거점 선정 시 고려사항 
다. 진출 전략상의 시사점 
2. 동남아시장 진출 방향   
가. 진출 방향 설정의 전제 
나. 동남아시장 진출의 기본 방향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판매정보

분량/크기, 판매가격
분량/크기 162
판매가격

구매하기 목록

같은 주제의 보고서

Working paper Industrial Policy, Rise of Skilled Labor, and Firm Growth in the Early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2023-12-15 Working paper An Analysis on the Regional Integration of Northeast Asia by Developing NARCI (Northeast Asia Regional Cooperation Index) 2023-10-27 연구자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 주요국의 에너지 위기 대응 정책 분석 2023-08-28 연구보고서 한국의 서비스무역 통계 개선 방안 연구 2022-12-30 연구보고서 인도의 주별 인구구조 변화가 노동시장과 산업별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 2022-12-30 연구자료 국제사회의 산업부문 탄소중립 추진 동향과 대응방향: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2023-05-28 연구보고서 코로나19 위기와 기업경쟁구도 변화: 과거 경제위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2022-12-30 연구보고서 중국 도시의 녹색전환 정책과 시사점 2022-12-30 연구보고서 바이든 행정부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 정책과 시사점: 반도체 및 배터리 산업을 중심으로 2022-12-30 ODA 정책연구 사회경제적 불평등 측정 방법 분석과 시사점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농업 경쟁력과 한-인도 협력 방안 2022-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아프리카 문화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한국에 주는 함의 2022-12-30 중장기통상전략연구 글로벌 보조금 규제의 새로운 현상: 역외보조금·기후변화 보조금·환율보조금 2021-12-30 연구보고서 포용적 혁신성장을 위한 주요국의 경쟁정책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기후 변화가 아프리카 농업 및 분쟁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2021-12-30 세계지역전략연구 인도의 對아프리카 협력 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 2022-05-27 연구자료 일본 디지털전환 정책의 평가와 시사점 2022-05-20 연구보고서 신보호주의하에서 미국의 대외경제정책 평가와 방향 2021-12-30 연구보고서 중국의 디지털 전환 전략과 시사점: 5G 네트워크 구축과 데이터 경제 육성을 중심으로 2021-12-30 연구보고서 아프리카 보건의료 분야 특성 분석 및 한국의 개발협력 방안 2021-12-30
공공누리 OPEN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출처표시, 상업용금지, 변경금지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기준 (공공누리, KOGL) 제4유형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의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권정책 참조

콘텐츠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콘텐츠 만족도 조사

0/100